티스토리 뷰



반응형

 

 

서울의 높은 집값 속, 청년들을 위한 희소식이 있습니다! 청년안심주택은 서울시가 무주택 청년과 신혼부부를 위해 역세권에 저렴한 임대주택을 공급하는 정책입니다. 2025년 첫 모집이 시작되며, 강남·용산 등에서 월 10만 원대 월세로 거주할 기회가 열렸습니다. 이 글에서는 청년안심주택 자격, 청년안심주택 대상자, 청년안심주택 보증금 정보를 중심으로 신청 방법을 구체적으로 알려드릴게요. 지금 바로 청년안심주택 자격을 확인하고 기회를 잡아보세요!

 

 

 

 

▼ ▼ ▼ 모집 공고문 확인 ▼ ▼ ▼

 

 

공공_250409_2025년 1차 청년안심주택 모집공고문.pdf
0.72MB

 

 

 

 

1. 청년안심주택이란?

 

 

청년안심주택은 서울시와 민간이 협력해 만19~39세 무주택 청년 및 신혼부부에게 시세 30~85% 수준의 공공·민간임대 주택을 제공하는 사업입니다. 청년안심주택 보증금은 최대 50%(4,500만 원) 무이자 지원으로 부담을 줄이고, 최대 10년 거주 가능해 안정적인 주거 환경을 제공합니다. 20251차 모집은 1,485가구(신규 1,356가구, 재공급 129가구), 도곡 더써밋타워, 용산 남영역 롯데캐슬 헤리티지 등 14개 단지가 대상입니다.

 

 

 

 

 

 

2. 청년안심주택 자격 및 대상자

 

 

청년안심주택 자격은 아래 조건을 충족해야 합니다

 

1) 연령

 

청년안심주택 대상자는 입주자 모집공고일(2025.04.09.) 기준 만 19~39(1986.04.10.~2006.04.09. 출생)입니다. 신혼부부는 예비신혼부부 포함, 혼인 7년 이내여야 합니다.

 

2) 무주택

 

청년안심주택 자격은 무주택자여야 하며, 신혼부부는 세대 구성원 모두 무주택이어야 합니다.

 

3) 소득

 

청년안심주택 대상자는 소득 순위에 따라 나뉩니다:

 

- 1순위: 생계급여 수급자, 차상위계층.

 

- 2순위: 본인+부모 소득이 전년도 도시근로자 월평균 소득 100% 이하.

 

- 3순위: 본인 소득이 100% 이하(1인 가구는 120%, 4317797).

 

4) 자산

 

청년안심주택 자격은 총자산 25,400만 원 이하(3순위), 차량 가액 3,803만 원 이하여야 합니다.

 

 

청년안심주택 대상자는 대학생, 취업준비생, 직장인 등 다양한 청년층을 포함하며, 소득·자산 기준만 맞으면 신청 가능합니다. 특히 1인 가구의 경우 소득 기준이 완화(120%)되어 청년안심주택 자격을 충족하기 쉬워졌습니다.

 

 

 

 

 

3. 청년안심주택 보증금 및 임대료

 

 

  ▼ 임대보증금 지원 안내문 다운로드   

 

250407_청년안심주택_임대보증금지원_안내문.pdf
0.18MB

 

 

 

 

 

청년안심주택 보증금은 저렴한 편입니다. 예를 들어

 

1) 용산 남영역 롯데캐슬 헤리티지(전용 23.97): 청년안심주택 보증금 4,260만 원, 월세 188,000

 

2) 도곡 더써밋타워(전용 18): 청년안심주택 보증금 약 4,000만 원대, 월세 186,000

 

청년안심주택 보증금은 최대 4,500만 원까지 무이자 지원받아 초기 부담이 적습니다. 임대료는 주변 시세의 30% 수준으로, 청년안심주택 보증금과 함께 주거비를 크게 절감할 수 있습니다. 계약은 2년 기본, 최대 4회 재계약으로 10년 거주 가능해 안정적입니다.

 

 

 

 

 

 

4. 청년안심주택 신청 방법 (구체적 단계)

 

 

청년안심주택 자격을 충족했다면, 아래 단계로 신청하세요.

 

1) 모집공고 확인

 

(1) 링크: 서울주거포털 또는 청년안심주택 관련 플랫폼

 

 

 

(2)  20251차 공고(2025.04.09.)를 확인해 단지별 조건(보증금, 월세, 면적 등) 파악

 

 

2) 청약 접수

 

(1) 기간: 2025.04.21.() 10:00 ~ 04.23.() 17:00

 

(2) 방법: 인터넷/모바일 접수만 가능. SH공사 청약센터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3) 절차

 

(1) 회원가입 후 로그인

 

(2) 원하는 단지 선택(도곡, 용산 등)


(3) 청년안심주택 대상자 정보
(소득, 자산, 무주택 여부) 입력

 

(4) 신청 완료 후 접수 번호 확인

 

4) 서류 심사

 

(1) 발표: 2025.05.09.(), SH공사 홈페이지에서 확인.

 

(2) 제출 기간: 2025.05.19.() ~ 05.21.()

 

(3) 제출 서류

 

- 주민등록등본/초본

 

- 가족관계증명서

 

- 소득증빙(근로소득원천징수영수증, 소득금액증명원)

 

- 자산증빙(부동산 등기부등본, 자동차등록증)

 

- 청년안심주택 보증금 관련 금융 서류(선택 사항)

 

(4) 제출 방법: 등기우편으로 SH공사(주소: 서울 강남구 선릉로 121) 제출

 

5) 당첨자 발표

 

- 일정: 2025.08.29.()

 

- 확인: SH공사 홈페이지 또는 청년안심주택 플랫폼

 

- 당첨 시 계약 체결 후 10월 입주

 

6) 입주

 

- 청년안심주택 보증금 납부(무이자 지원 신청 가능)

 

- 10월부터 입주 시작

 

 

 

 

5. 신청 팁 및 주의사항

 

 

1) 사전 준비: 청년안심주택 자격 확인을 위해 소득·자산 서류를 미리 준비하세요. 보험개발원 또는 복지로에서 차량 가액 조회 가능

 

 

2) 중복 신청 금지: 동일 단지 내 다수 유형 신청 시 무효 처리

 

3) 경쟁률: 2024년 평균 60~971. 1순위(수급자) 우선, 3순위도 기회 많음

 

4) 허위 신청: 청년안심주택 대상자 정보가 부정확하면 불이익(취소 등)

 

5) 보증금 지원: 입주 3주 전 청년안심주택 종합지원센터(용산구 백범로9940) 방문 신청

 

6) 문의: 서울주택도시공사 콜센터(1600-3456)

 

 

 

청년안심주택은 저렴한 임대료와 청년안심주택 보증금 지원으로 주거비 부담을 줄여줍니다. 강남, 용산 등 역세권에서 월 10만 원대에 거주하며 안정적인 생활을 시작할 수 있죠. 공공임대는 전세 사기 걱정도 적습니다. 2025년 총 8,050가구 공급(2·3차 예정)으로 기회가 더 많아질 전망입니다청년안심주택 자격을 갖춘 청년이라면, 이번 1차 모집(4.21~4.23)을 놓치지 마세요! 서울주거포털과 SH공사에서 공고를 확인하고, 청년안심주택 대상자로 선정될 기회를 잡으세요. 청년안심주택 보증금 지원까지 활용하면 내 집 마련의 꿈이 현실로 다가옵니다

 

 

반응형