티스토리 뷰
목차
오늘은 보건증 발급을 위한 건강검진 방법에 대해 자세히 알려드릴게요. 보건증은 식품위생법에 따라 식품 관련 업종에 종사하는 분들이 반드시 받아야 하는 증명서인데요, 인터넷 발급 전 필수적인 건강검진 과정부터 꼼꼼하게 안내해 드릴게요.
1. 보건증 건강검진, 왜 필요할까요?
보건증 검사를 위한 건강검진은 식품 매개 감염병으로부터 국민 건강을 보호하고, 식품 관련 업종 종사자들의 건강 상태를 확인하기 위해 실시돼요. 건강검진을 통해 장티푸스, 결핵, 전염성 피부질환 등 검사항복을 통해 식품 위생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질병 여부를 확인하고, 안전한 식품 환경을 조성하는 데 목적이 있어요.
2. 보건증 검사 기관 선택: 보건소 vs 병원
보건증 건강검진은 보건소 또는 지정된 병원에서 받을 수 있어요.
1) 보건소: 비교적 저렴한 비용으로 검사를 받을 수 있지만, 대기 시간이 길 수 있어요.
2) 병원: 비용은 보건소보다 높지만, 예약이 편리하고 검사 결과를 빠르게 확인할 수 있어요. 다만, 보건증 검사 병원은 리스트가 별도로 없어 집 근처 가정의학과나 내과, 건강검진 센터에 연락해서 보건증 검사 가능 여부를 판단해 보셔야 해요.
3. 보건증 검사 전 준비사항
1) 신분증 (주민등록증, 운전면허증 등)
2) 보건증 검사 비용 (현금 또는 카드)
- 보건소: 약 3,000원~5,000원 정도의 비용이 발생해요.
- 병원: 병원마다 다르지만, 10,000원에서 30,000원 사이의 비용이 발생해요.
3) 기타: 보건증 검사 전날 과음이나 과식은 피하는 것이 좋아요.
4. 직종별 보건증 검사항목
1) 식품 접객업 검사항목
[일반 음식점, 카페, 제과점 등]
- 결핵 (흉부 X선 검사)
- 장티푸스 (장내 세균 검사)
- 파라티푸스 (장내 세균 검사)
[집단 급식소 (학교, 병원, 기업체 구내식당 등)]
- 결핵 (흉부 X선 검사)
- 장티푸스 (장내 세균 검사)
- 파라티푸스 (장내 세균 검사)
- 세균성 이질 (장내 세균 검사)
2) 식품 제조/가공업 검사항목
[식품 공장, 식품 제조 업체 등]
- 결핵 (흉부 X선 검사)
- 장티푸스 (장내 세균 검사)
- 파라티푸스 (장내 세균 검사)
3) 식품 판매업 검사항목
[마트, 편의점, 식품 판매점 등]
- 결핵 (흉부 X선 검사)
- 장티푸스 (장내 세균 검사)
- 파라티푸스 (장내 세균 검사)
4) 유흥업소 검사항목
- 결핵 (흉부 X선 검사)
- 장티푸스 (장내 세균 검사)
- 파라티푸스 (장내 세균 검사)
- 매독 (혈액 검사)
- 에이즈 (HIV) (혈액 검사)
- 임질, 클라미디아 검사등의 성병 검사 추가
5) 참고사항
- 보건증 검사 항목은 보건소나 병원에 따라 약간의 차이가 있을 수 있으므로, 방문 전에 미리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.
- 업종에 따라 필요한 보건증 검사 항목이 다를 수 있으므로, 본인이 종사하는 업종에 맞는 검사를 받으셔야 합니다.
5. 보건증 검사 절차
1) 접수 및 문진: 보건증 검사를 하기 위해서는 신분증을 제시하고 접수 후, 간단한 문진표를 작성해요.
2) 검사 진행: 보건증 검사항목에 따라 방사선 촬영, 채변, 피부 검사 등을 진행해요.
3) 결과 확인: 보건증 검사 결과는 약 3~5일 후 문자 또는 온라인으로 확인할 수 있어요.
6. 보건증 검사 결과 확인 및 보건증 발급
검사 결과가 정상으로 나오면, 보건소 또는 병원에서 보건증을 발급받을 수 있어요. 인터넷 발급을 원할 경우, '공공보건포털' 또는 '정부24' 웹사이트에서 발급받을 수 있어요.
보건증 발급을 위한 검사항목, 이제 어렵지 않죠? 오늘 알려드린 정보를 통해 건강하고 안전하게 보건증을 발급받으시길 바랄게요!